Xosé Veiga

| 스페인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박사과정 및 FPU 장학생

"지브롤터와 현대 국가의 상대성 이론" (09.24)
Quality anchor talent

Xosé Veiga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박사과정 및 FPU 장학생




지브롤터와 현대 국가들의 상대성

국가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근대의 중요한 사건들을 이끌어온 주요 동력 중 하나였습니다역사적으로 군주의 정당성은 신의 의지경제적·군사적 힘또는 가문이나 계급의 소속에 기반을 두었습니다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이러한 형태가 존재합니다그러나 18세기 이후 유럽과 세계에 걸쳐 현대 자유주의 정권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패러다임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변화했습니다오늘날에는 "국민우리"가 정부의 행동을 지탱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국가란 무엇일까요국가는 본질적으로 정의된 영원한 특성을 가진 실체일까요아니면 상상력아이디어정치적 프로젝트로서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까요학문적 세계에서는 이 논쟁에서 두 가지 주요 입장이 인정됩니다(Smith, 2013): 하나는 프랑스 및 앵글로색슨 계몽주의 사상에 뿌리를 둔 구성주의적 입장이며다른 하나는 독일 이상주의에서 더 발전된 본질주의적 입장입니다장 자크 루소와 존 스튜어트 밀은 사람들이 연합하고 국가를 형성하려는 의지를 강조하는 반면요한 고트프리드 헤르더와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는 각 민족을 이끄는 "특별한 법"이나 독특한 "정신"과 같은 본질적 특성을 제시합니다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중요합니다그 이유는 이러한 답이 정치적 행동을 인도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만약 국가가 본질적으로 그들만의 정신언어그리고 땅을 가진다면그들은 항상 자신들이 "소유"한다고 여기는 것에 대해 주장할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예를 들어수천 년이 지나도 팔레스타인의 땅은 항상 유대민족에게 속할 것이며구소련 및 러시아 제국의 민족들은 항상 모스크바에 충성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오스트리아인과 일부 스위스 사람들은 기꺼이 원하지 않더라도 독일인이 될 것입니다그러나 역사 속에서 국가들은 성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현재 칼리닌그라드에 무엇이 남아 있습니까이오니아와 스미르나의 그리스인들은 어떻게 되었습니까브라질은 여전히 포르투갈의 것입니까벨기에의 왈로니아는 프랑스의 영토로 되돌려져야 할까요이스트리아는 이탈리아로 돌아가야 할까요모든 아랍국가는 하나의 국가입니까?

본질주의적 국가관은 과거와 현재 발생한 수많은 갈등에 의해 어느 정도 정당성을 상실했습니다마르크스주의 해석에 대한 존경을 표하더라도1차 및 제2차 세계대전은 단순히 유럽 부르주아가 노동자 운동과 사회주의 혁명을 억누르려 했던 의도로만 설명할 수 없습니다나치주의 및 파시스트 정권의 모든 팽창주의적 프로젝트에는 뚜렷한 민족주의적 냄새가 배어 있습니다(Griffin, 2018):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모든 민족을 하나의 국가 아래 통합하려는 소망이나 국가가 더 큰 영토를 확보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하려는 소망이 그것입니다.

민족주의는 이러한 오류를 이해하고 자유주의 및 민주적 기준에 더 부합하는 형태로 변형되었습니다현재 민족은 지식인들과 많은 자유주의 정치인들에 의해 "상상된 공동체"(: Anderson, 1983; Hobsbawm, 1992; Núñez-Seixas, 2018; Cagiao y Conde, 2022)로 간주되며이것은 종종 특정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영토를 포함할 수 있지만,본질적으로는 국가가 존재하는 데 필요한 것은 구성원들의 의지에 달려 있습니다그러나 본질주의적 민족주의의 흔적은 여전히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으며과거의 갈등을 유지하거나 미래에 새로운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관점에서 보면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특히 크림 반도와 관련),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일명 대만간의 갈등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오랜 논쟁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터키와 쿠르드 간의 긴장그리고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 등이 그 예시입니다이 문제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갈등은 300년 동안 지속되어 온 스페인과 영국 간의 갈등입니다이 갈등은 가끔 대륙과 섬의 언론에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이 문제는 좋은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지브롤터는 이베리아 반도 남단에 위치한 7㎢도 채 되지 않는 작은 땅입니다아랍인들이 부른 "야발 타리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이 곳은 15세기 동안 카스티야 왕국에 의해 그라나다 에미레이트에서 정복되었습니다그 후로 지브롤터는 왕국의 선박들이 피난처로 삼고마그레브와 대륙을 가르는 해협에서 항해를 통제하며이슬람의 "야만 왕국들"과의 전쟁에서 군사적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이그나시오 로페스 데 아얄라(2007 [1782])의 기록에 따르면, 17세기 말까지 이 도시는 약 6,500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와인과 생선을 수출하는 경제를 이루었고알헤시라스 만의 인근 지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1704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4) 영국네덜란드카탈루냐 군이 하세-다름슈타트 왕자의 지휘 아래 지브롤터를 정복하였습니다그 후 1713필리프 5세가 스페인 왕위에 오르면서 유트레히트에서 체결된 조약을 통해 전쟁을 종식시켰습니다그 중 스페인과 영국 사이의 평화 조약은 지브롤터와 메노르카 섬을 영국에 영구히 양도하는 내용이었으며이에는 몇 가지 조건이 포함되었습니다지브롤터는 이후 몇 세기 동안 정치적경제적 변화 속에서 번성했습니다산업 혁명과 해협을 통한 해상 교통 증가로 중요한 상업적 거점으로 발전했습니다자체적인 부르주아지가 형성되었고이들은 점차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는 방법을 배우며 어느 정도 자치권을 얻었습니다. 1801년에는 이미 <지브롤터 크로니클>과 같은 지역 신문이 발행되었으며, 1830년에는 단순한 군사 기지에서 ‘왕립 식민지로 변모했습니다그곳의 발전은 상공회의소위생위원회증권위원회지브롤터 고용주 연합과 같은 다양한 기관의 설립으로 이어졌고이는 20세기 말까지 이미 그곳에서 살아 숨 쉬고 있던 민간 사회의 활력을 보여주었습니다지브롤터와 스페인 영토 간의 유대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이 세기의 끝무렵 10,000명에서 12,000명의 스페인 사람들이 매일 국경을 넘나들며 도시의 상업 활동에 종사했습니다지브롤터 만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독재자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는 무역을 제한하고 밀수를 단속하려 했을 때스페인 라 리네아 데 라 콘셉시온의 인구는 63,000명에서 35,000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참고: Grocott & Stockey, 2012). 양측 간 결혼이 흔했고왕립 칼페 사냥과 같은 축제도 스페인인과 지브롤터인들이 함께 즐겼으며여러 번 현지 당국은 서로 축하와 예의를 표하기도 했습니다시간이 지나면서 영어와 스페인어가 결합된 혼합적인 지역 방언인 ‘야니토(Llanito)’도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역 차원의 좋은 공존과 공생은 국가 차원에서는 전혀 다르게 나타났습니다스페인 정부와 스페인 민족주의 지식인들은 이를 국가적 수치로 여겼으며이는 국가의 역사적 약점을 나타내며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세풀베다 무뇨스, 1996). 이 감정은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독재 정권 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1936년 군사 쿠데타와 내전 이후 1975년까지 통치했던 프랑코는 40년 동안 지브롤터를 스페인에 병합하려는 시도를 계속했습니다하지만 이는 불가능했습니다. 1967유엔의 탈식민지화 과정의 일환으로지브롤터 주민들은 자신들이 영국과의 연합을 유지하며 독자적인 헌법과 넓은 자치 권한을 얻을 것인지아니면 스페인과 통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투표를 진행했습니다그 결과영국의 주권 하에 남기로 선택한 표가 99% 이상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이에대한 스페인 측의 반응은 신속했습니다국경을 폐쇄하고 1969년부터 1982년까지 이어진 ‘베르하조(Verjazo)’가 발생하였으며이는 독재자의 사망 후 7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그 결과는 인구의 고통 증가가족들의 분리그리고 지브롤터와 스페인을 연결하던 많은 관계의 단절이었습니다.

민주적인 스페인 정부와 영국 정부 간의 협정은 2002년 다시 한 번 공동 주권에 관한 새로운 국민 투표로 이어졌습니다이번에도 ‘아니오’ 표가 압도적인 다수로 승리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대부분의 스페인 민족주의 성향을 가진 정치 정당들은 지브롤터에 대한 새로운 협정을 요구하고 있으며갈등은 여전히 뉴스에서 자주 등장합니다스페인 정치인이 해협을 헤엄쳐 건너가 지브롤터 바위에 스페인 국기를 펼치는 사건(지브롤터 방송, 2016)부터 유럽 축구 챔피언이 된 선수들이 “지브롤터는 스페인 것이다라고 외치며 열광적인 군중 앞에서 선언하는 장면(그리날, 2024)까지그 갈등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커뮤니케이션 문제는 여전히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밀수 단속에 대한 의지 부족(세금청, 2023)과 바위의 영해를 둘러싼 갈등(페레즈 시에라, 2022)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이 오랜 갈등의 역사는 이러한 현상들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한때 한 국가에 속했던 영토가 더 이상 그 국가에 속하지 않게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민족주의는 반드시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정치 체제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지만본질주의적이고 비실용적인 논거로 다른 민족의 의사를 무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지브롤터는 수세기 전에 스페인의 일부였지만이제 그곳의 주민들이 더 이상 같은 민족이 아니며 명백히 스페인과 함께하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표명한 상태입니다따라서 18세기에 체결된 조약은 이제 논리적인 의미를 잃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국제 및 정체성 갈등을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주민에 대한 관심 부족실용주의의 결여양측의 대화 및 협력 부족그리고 관계와 소통의 단절입니다사회 운동과 민족주의의 분노에 의해 주도되는 정부는 국제 갈등을 지속시키며이는 관련된 어느 쪽에도 유익하지 않습니다역사에서 결코 사라지지 않은 이러한 역설은 여전히 오늘날 가장 중요한 갈등 중 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AGENCIA TRIBUTARIA, “The Tax Agency seizes 24,000 packets of contraband tobacco in Campo de Gibraltar”, 19/12/2023. Available in < https://sede.agenciatributaria.gob.es/Sede/en_gb/informacion-institucional/sobre-agencia-tributaria/La_Agencia_Tributaria_incauta_24_000_cajetillas_de_tabaco_de_contrabando_en_el_Campo_de_Gibraltar.html > [august 2024]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2016.

BURKE, Stacie & Sawchuk, Larry, “Alien encounters: the jus soli and reproductive politics in the 19th-century fortress and colony of Gibraltar”, The history of the family: an international quarterly, 6, 2001, pp 531-561.

CAGIAO Y CONDE, Jorge, Democracia y nación. España en el laberinto plurinacional, Catarata, 2022.

DEL VALLE GÁLVEZ, Alejandro, “¿De verdad cedimos el peñón? Opciones estratégicas de España sobre Gibraltar a los 300 años del Tratado de Utrecht”, Revista Española de Derecho Internacional, vol. LXV, n. 2, 2013, pp. 117-156.

GBC News, “Spanish Flag Incident; Vox President pleads guilty”, GBC News, 22/06/2016. Available in <https://www.gbc.gi/news/spanish-flag-incident-vox-president-pleads-guilty-32480> [august 2024]

GREENALL, Robert, “Euro winners chant ‘Gibraltar is Spanish’ at parade”, BBC News, 16/07/2024. Avaliable in <https://www.bbc.com/news/articles/cjk3zlpd5l4o> [august 2024]

GRIFFIN, Roger, Fascismo, Alianza Editorial, 2019.

GROCOTT, Chris & STOCKEY, Gareth, Gibraltar. A Modern History, Cardiff,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2.

HOBSBAWM, E. J.,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Programme, Myth,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LÓPEZ DE AYALA, Ignacio, Historia de Gibraltar, Oxford Univeristy, 2007 [1782].

NÚÑEZ SEIXAS, Xosé Manoel, Suspiros de España. El nacionalismo español, 1808-2018, Crítica, 2018.

PÉREZ SIERRA, “Gibraltar: el problema de las aguas y la cuestión territorial”, Anales de Derecho, n. 39, 2022, pp. 1-19.

SEPÚLVEDA MUÑOZ, Isidro, “Instrumentalización nacionalista del irredentismo: Gibraltar y el nacionalismo español”, Spagna Contemporanea, n. 9, 1996.

SMITH, Anthony D, Nationalism: Theory, Ideology, History, Polity, 2013.

VERDÚ BAEZA, Jesús, “Las aguas de Gibraltar. El tratado de Utrecht y el Derecho Internacional del Mar”, Cuadernos de Gibraltar / Gibraltar Reports, January – December 2015, pp. 97-132.


扫码关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