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의 빈곤 퇴치: 실현 가능한 목표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는 새로운 행위자들이 등장하며, 이전의 규칙 기반 글로벌 시스템을 넘어서는 새로운국제 협력의 시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다극적"이라는 용어는 경제적 힘이나 정치적 영향력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가 국제 무대에서 동등한 조건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빈곤 퇴치는 주로 서구 기부국과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통화기금(IMF)과 같은 기관의 이익에 기반한 성장 모델과 연결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은 지역적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정치적 이익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많았습니다. 서구 국가들은 지배적인 경제적, 정치적 지위를 이용하여 다른 국가들의 발전 경로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종종 해당 국가들의 이익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해 내부 갈등과 저항을 야기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브릭스(BRICS) 국가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빈곤 퇴치를 주요 개발 목표로 삼으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XVI BRICS 정상회의 카잔 선언, 2024년 10월 23일). 단극적 세계 질서에서 다극적 세계 질서로의 전환은 정치적 조건을 부과하지 않으면서 이전에 소외된 지역의 경제적 참여를 촉진하려는 대안적 개발 모델에 공간을 제공합니다. 중국의 일대일로(BRI) 구상은 운송 경로, 통신 인프라 및 무역 연결의 확장을 통해 빈곤 퇴치를 지원하는 포괄적인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동시에 핀테크(fintech) 및 디지털 포용과 같은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은 금융 및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발전은 BRICS 및 기타 새로운 협력체가 기술적 진보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대안적 개발 경로를 장려함에 따라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 빈곤 퇴치가 그 어느 때보다 실현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빈곤 퇴치와 글로벌 권력 구조: 다극적 전환
역사적으로 국제 개발 정책은 서구의 권력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세계은행과 IMF와 같은기관은 시장 자유화, 민영화 및 수출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 성장 기반 모델을 촉진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자본 흐름을 유치하고 경제 개방을 통해 사회적 진보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World Bank, 2021). 지지자들은 개방된 시장과 글로벌 경제로의 통합이 개발도상국에 필수 자원과 기술에 대한 접근을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비판론자들은 이러한 모델이 종종 구조 조정 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사회적불평등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다고 강조합니다(Escobar, 2012; McMichael, 2016).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는 BRICS와 같은 신흥 경제국들이 빈곤 퇴치를 위한 대안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개발이 서구 기부 기관이 부과하는 조건 없이 협력과 지역적 자율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BRICS 포럼과 신개발은행(NDB)과 같은 이니셔티브는 회원국의 특정 요구에 더 부합하고 지속 가능하며 사회적으로 포괄적인 경제 개발을 촉진하는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Griffith-Jones, 2015). 이러한 대안적 접근 방식은 성장 중심 모델 외에 선택권을 제공하며, 개발도상국의 주권과 독립을 존중함으로써 그들의 위치를 강화합니다.
빈곤 퇴치에서 BRICS 국가들의 역할
BRICS 국가는 자원과 권력의 글로벌 분배를 더 균형 있게 조정하려는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 핵심 연합으로자리 잡았습니다. 각 BRICS 회원국은 빈곤 퇴치에 대해 독특하지만 상호 보완적인 접근 방식을 추구하며, 종종 인프라 확장과 사회 안전망을 통해 이를 지원합니다. 특히 중국과 인도는 국가 주도 프로그램과 지역 경제 개발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놀라운 진전을 이루었습니다(Li & Li, 2021).
신개발은행(NDB)은 세계은행에 대한 대안으로 설립되어, BRICS 국가 내에서 빈곤 퇴치와 경제적 포용에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인프라 확장, 재생 가능 에너지 촉진 및 사회 서비스 접근을 강조합니다. NDB의 장점은 자금 지원 프로젝트가 회원국의 정치적, 사회적 조건에 부합하여 개발되며 서구 기부국의 정치적 조건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Mason, 2018).
일대일로 구상: 빈곤 퇴치를 위한 인프라의 역할
중국의 일대일로(BRI) 구상은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 중요성을 더해가는 대안적 개발 접근 방식의 또 다른 예입니다. BRI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전역에 걸쳐 운송 및 통신 인프라를 확장함으로써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사회적 진보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BRI 프로젝트는 참가국 간의 무역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특히 농촌 및 저개발 지역에서 현지 경제를 강화하고 시장 접근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Rolland, 2020).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한 빈곤 퇴치는 BRI의 중심 목표로, 개선된 인프라는 의료, 교육 및 고용 기회에 대한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도로, 철도 및 통신망 건설을 통해 BRI 참가국들은 지역 경제 순환을강화하고 경제적 의존도를 줄일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BRI는 개발도상국 간 협력을 촉진하고 기술 및 지식 교환 플랫폼을 만들어 장기적인 개발 과정을 지원하며 서구 시장 및 투자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입니다(Zhao, 2021).
기술 발전: 빈곤 퇴치를 위한 도구
현대 기술, 특히 핀테크(fintech)와 디지털 포용은 빈곤 퇴치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줍니다. 모바일 결제 시스템과 디지털 금융 서비스는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는 소외 계층이 경제 개발에 참여할 수있도록 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케냐의 M-Pesa 시스템이 있으며, 이는 간단한 휴대폰 거래를 통해 수백만명이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했습니다(Jack & Suri, 2011).
다극적 세계 질서 속에서 BRICS 국가들은 점점 디지털 솔루션을 빈곤 퇴치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혁신의 선두 주자인 중국은 국가의 지원과 규제를 통해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접근성을 확장한사례를 보여줍니다. 인도의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프로그램 역시 농촌 지역의 디지털화를 촉진하여수백만 명의 시민들이 온라인 뱅킹, 전자정부 서비스, 디지털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Gulati, 2020).
기술 발전은 빈곤 퇴치 프로그램을 더욱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며, 경제적 포용을 촉진합니다. 디지털 연결성은 시장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소외된 계층을 경제적 순환에 통합합니다. 다극적 세계 질서는 전통적 개발 모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개발도상국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술 기반 빈곤 퇴치접근 방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도전 과제와 다극적 접근 방식의 확장 가능성
다극적 세계 질서가 빈곤 퇴치를 위한 대안적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고 해도, 이러한 모델을 다른 국가와 지역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중요한 질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BRICS 국가들의 경험과 일대일로(BRI) 프로젝트의 결과는 국가 차원에서 성공적인 빈곤 퇴치를 위해 국가 거버넌스와 인프라 개발이 중요한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정치적 안정성과 효과적인 정부 구조가 부족한 국가는 BRICS 국가와 BRI 모델을 완전히 채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국가에서 사회적, 문화적 장벽이 디지털 기술과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과 목표 지향적 훈련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새로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극적 세계 질서는 협력과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한 빈곤 퇴치 모델을 제시하며, 서구의 영향과 정치적 조건에 덜 의존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결론
다극적 세계 질서에서 BRICS 국가들과 일대일로와 같은 이니셔티브는 빈곤 퇴치를 위한 대안적 개발 접근방식을 제시하며, 그 잠재력이 큽니다. 인프라 확장, 기술 혁신, 디지털 포용 프로그램을 통해 경제적 및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공간이 열리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서구 지배적 개발 모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있습니다. BRICS 국가들과 BRI는 협력과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빈곤 퇴치가 실현 가능한목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을 다른 지역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확장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도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다극적 세계 질서는 대안적 빈곤 퇴치 전략에 공간을 제공하지만, 정치적 및 제도적 전제 조건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BRICS 국가들과 BRI의 성공 사례를 다른 국가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탐구하고, 장기적인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치적 프레임워크를 식별해야 합니다.
Escobar, A. (2012). Encountering Development: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Third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Griffith-Jones, S. (2015). The BRICS Development Bank: Mobilizing Resources for Infrastruc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Gulati, G. (2020). Digital Ind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Fintech for Financial Inclusion*. Indian Journal of Economics. Jack, W., & Suri, T. (2011). Mobile Money: The Economics of M-Pes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Li, X., & Li, J. (2021). Poverty Alleviation in China and India: Lessons from BRICS Countries. Journal of Development Policy and Practice. Mason, P. (2018). Alternative Development Finance and the BRICS New Development Bank.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McMichael, P. (2016).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A Global Perspective. SAGE Publications. Rolland, N. (2020).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A Strategic Agenda for Eurasia. The National Bureau of Asian Research. World Bank (2021). World Development Report 2021: Data for Better Lives. The World Bank. Zhao, S. (2021).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mplications for Poverty Alleviation in Asia and Beyond. Asian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