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니어 무켄제 N. 교수는 2024년 10월 31일 "21세기 폐기물 관리 국제 컨퍼런스: 글로벌 혁신"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민주콩고공화국(DRC)의 폐기물 관리 현황
민주콩고공화국, 특히 킨샤사와 같은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에서 폐기물 관리는 심각한 환경 및 건강 문제를 초래하고있습니다. 1,700만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한 킨샤사는 매일 상당한 양의 폐기물을 생성하지만, 이 중 약 25%만이 효율적으로 수거되고 처리되고 있습니다. 나머지 폐기물은 대부분 부적절하게 처리되어 심각한 생태학적 피해와 공중 보건 위험을 유발합니다. 이 연구는 민주콩고공화국의 현재 폐기물 관리 상태를 검토하고, 킨토코 시설과 같은 지역적 혁신 사례를조명하며, 폐기물 회수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기술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탐구합니다.
킨샤사의 현재 폐기물 관리 관행
킨샤사는 폐기물 수집 및 처리에서 심각한 제한 사항에 직면해 있으며, 폐기물 관리 시스템은 "재활용 및 회수 노력이 간헐적으로만 이루어지는 전반적으로 미개발된 상태"(N’Landu et al., 2023)로 묘사됩니다. 킨토코 시설은 플라스틱 폐기물을재활용하여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지역 혁신의 대표적인 사례이지만, 이는 많은 도전 속에서 단독으로 이루어진 노력입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폐기물의 일부만이 실제로 재활용되며, 대부분은 야외에 방치되거나 소각된다"(Mpoyi & Kitompa, 2022)고 합니다. 따라서 체계적인 폐기물 처리가 킨샤사의 지속 가능한 도시 생활을 위해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입니다.
해결책으로서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기술
DRC의 폐기물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특히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기술이 유망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토치 기술을 활용한 가스화는 플라스틱, 의료, 전자 폐기물 등 다양한 폐기물을 매우 높은 온도에서분해하는 첨단 기술입니다. 이 과정은 폐기물을 합성가스 및 카본 블랙과 같은 가치 있는 부산물로 전환하며, 에너지 및 소재 생산에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Cheng et al., 2020).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가스화는 폐기물 전환을 위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화석 연료에 크게 의존하는 지역에 더 깨끗한 에너지원을 제공합니다"(Johnson & Lee, 2021).
이 기술을 킨샤사에 적용하면 여러 분야에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의 부산물인 합성가스는 산업용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카본 블랙은 다양한 산업적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산물의 효과적인 사용은 수입 에너지 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전체 환경 영향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산업 통합 및 에너지 파트너십의 잠재력
킨샤사의 산업 부문은 폐기물 회수 기술 통합을 통해 상당한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력 구매 계약(PPA)을 통해 파트너십을 구축하면 깨끗한 에너지 생산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투자 유치 및 기술 채택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Kabila et al. (2024)에 따르면, "PPA는 자원이 부족한 지역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위한 외부투자를 활용할 수 있는 필수 메커니즘입니다." 예를 들어, 민간 투자자들이 정부와 협력하여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설비를개발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합성가스 또는 기타 부산물을 할인된 가격에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와 정책적 함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려면 DRC 정부는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 관행에 대한 투자를 지원하는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명확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촉진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은 폐기물 회수 이니셔티브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강력한 정부 지원과 효과적인 정책은 개발도상국이 물류 및 재정적 장벽을 극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Ambo & Rwagumbu, 2023). 폐기물 회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킨샤사는 일자리창출 및 깨끗한 도시 환경 조성을 통해 순환 경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결론
특히 킨샤사를 중심으로 한 DRC의 폐기물 관리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가스화와 같은 혁신 기술은 폐기물을 가치 있는 부산물로 전환하고 깨끗한 에너지 생산을 지원하는 실행 가능한 경로를 제공합니다. 고급 폐기물 회수 방법의 전략적 채택과 지속 가능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통해 DRC는 폐기물 관리 위기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Ambo, J., & Rwagumbu, P. (2023). Policy framework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Environmental Policy Journal, 12(3), 45-58.
Cheng, Y., Wang, L., & Xu, F. (2020). Microwave Plasma Gasification: Prospects for sustainable waste treatment. Journal of Clean Energy Research, 29(2), 101-115.
Johnson, T., & Lee, H. (2021). Advancements in waste-to-energy technologies for emerging economies. Global Energy Solutions, 8(4), 88-97.
Kabila, M., Lukambo, T., & Mbala, C. (2024). Power Purchase Agreements as pathway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DR. Journal of African Development Studies, 15(1), 112-129.
Mpoyi, S., & Kitompa, G. (2022). Waste management practices in Kinshasa: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Urban Studies, 13(1), 34-47.
N’Landu, K., Mutombo, J., & Eboma, L. (2023). Urban waste and recycling dynamic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frican Journal of Waste Management, 18(2), 76-90.
扫码关注